지그메 도르지 왕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그메 도르지 왕축은 1928년에 태어나 1972년에 사망한 부탄의 국왕이다. 그는 부탄의 근대화를 이끌며, 입헌군주제 도입, 농노제 폐지, 사법부 독립 등 개혁을 추진했다. 또한, 5개년 계획 수립을 통해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국제 연합 가입을 통해 외교적 위상을 강화했다. 부탄의 전통 문화를 존중하며 문화 발전을 장려하는 한편, 인프라 개발에도 힘썼다. 그는 20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부탄 사회를 근본적으로 재편하고 부탄의 주권과 안보를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탄의 군주 - 우겐 왕축
우겐 왕축은 1907년 부탄의 초대 세습 국왕으로 즉위하여 250여 년간의 이원 통치 체제를 종식시키고 내전을 종식시켜 "근대 부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며, 불교 진흥, 서구식 교육 도입, 영국과의 외교 강화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부탄의 군주 - 지그메 왕축
부탄의 제2대 국왕인 지그메 왕축은 교육 및 인프라 개선, 사법 제도 개혁 등 국내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영국령 인도 및 인도와 우호 관계를 맺으며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 왕축가 - 우겐 왕축
우겐 왕축은 1907년 부탄의 초대 세습 국왕으로 즉위하여 250여 년간의 이원 통치 체제를 종식시키고 내전을 종식시켜 "근대 부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며, 불교 진흥, 서구식 교육 도입, 영국과의 외교 강화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왕축가 - 지그메 왕축
부탄의 제2대 국왕인 지그메 왕축은 교육 및 인프라 개선, 사법 제도 개혁 등 국내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영국령 인도 및 인도와 우호 관계를 맺으며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 부탄의 불교도 - 우겐 왕축
우겐 왕축은 1907년 부탄의 초대 세습 국왕으로 즉위하여 250여 년간의 이원 통치 체제를 종식시키고 내전을 종식시켜 "근대 부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며, 불교 진흥, 서구식 교육 도입, 영국과의 외교 강화 등의 업적을 남겼다. - 부탄의 불교도 - 지그메 왕축
부탄의 제2대 국왕인 지그메 왕축은 교육 및 인프라 개선, 사법 제도 개혁 등 국내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영국령 인도 및 인도와 우호 관계를 맺으며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지그메 도르지 왕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지그메 도르지 왕축 |
로마자 표기 | Jigme Dorji Wangchuck |
dz 표기 | འབྲུག་རྒྱལ་པོ་ འཇིགས་མེད་རྡོ་རྗེ་དབང་ཕྱུག་མཆོག་ |
티베트어 표기 | jigs med rdo rje dbang phyug |
재위 기간 | 1952년 3월 30일 – 1972년 7월 21일 |
대관식 | 1952년 10월 27일 |
출생일 | 1928년 5월 2일 |
출생지 | 트롱사 트루에팡 궁전 |
사망일 | 1972년 7월 21일 |
사망지 | 나이로비, 케냐 |
매장지 | 쿠르제 라캉에서 화장 |
신분 | |
직위 | 부탄의 국왕 |
왕조 | 왕축 왕조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아시 케상 초덴 |
자녀 | 소남 초덴 왕축 데첸 왕모 왕축 지그메 싱예 왕축 페마 라덴 왕축 케상 왕모 왕축 |
아버지 | 지그메 왕축 |
어머니 | 아시 푼초 초덴 |
종교 | |
종교 | 불교 |
2. 생애
지그메 도르지 왕축은 1928년 트롱사의 트루팡 궁전에서 태어났다.[5] 칼림퐁과 심라 비숍 코튼 스쿨에서 영국식 교육을 받고, 스코틀랜드와 스위스 등 여러 외국을 순방하며 부탄 발전에 적합한 방식을 모색했다.[6]
1943년 트롱사의 의전 담당관이 되었고, 1950년 파로 페놀프 체링 펜조르가 사망하자 파로 페놀프로 승진했다. 1951년 10월 5일, 파로의 우갼 펠리 궁전에서 아시 케상 초덴 왕축과 결혼했다.[6]
2. 1. 초기 생애
지그메 도르지 왕축(Jigme Dorji Wangchuck)은 1928년 트롱사(Trongsa)의 트루팡 궁전(Thruepang Palace)에서 태어났다.[5] 어린 시절, 아버지의 궁정에서 예절과 리더십을 배웠다. 칼림퐁(Kalimpong)과 심라 비숍 코튼 스쿨에서 영국식 교육을 받았으며, 스코틀랜드와 스위스 등 여러 외국을 순방하며 부탄 발전에 적합한 방식을 모색하는 데 영감을 얻었다.[6]1943년 트롱사의 의전 담당관(Dronyer)으로 임명되었고, 1950년 24대 파로 페놀프(Penlop) 체링 펜조르(Tshering Penjor, 1902–1949)가 사망하자 25대 파로 페놀프로 승진했다. 1951년 10월 5일, 파로(Paro)의 우갼 펠리 궁전(Ugyen Pelri Palace)에서 공작(Gongzim) 소남 탑게이 도르지(Sonam Topgay Dorji, 1896–1953)의 딸인 아시 케상 초덴 왕축(Ashi Kesang Choden Wangchuck, 1930년생)과 결혼했다. 왕실 결혼식은 정원 궁전에서 거행되었다.[6]
3. 통치와 업적
지그메 도르지 왕축은 부탄의 현대화를 이끈 군주로서 정치, 사회, 문화, 교육, 인프라,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1953년 푸나카 종에서 부탄 국회를 개회하여 각 지역 대표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왕실 토지 농노를 소작농으로 전환하는 등 사회 개혁을 추진했다.[7][10] 1959년에는 《트림중 첸모》(최고법)를 제정하고, 1968년 고등법원을 설립하여 사법부를 독립시키는 등 법치주의 확립에도 힘썼다.[11] 또한, 1968년 국왕 불신임 투표제를 도입하여 입헌군주제로의 전환을 준비했다.
문화 및 교육 분야에서는 불교 문화 보존에 힘쓰면서, 종카어 발전과 현대 교육 확립에도 노력했다.[2] 1967년 심토카 리주웅 롭드라(현 언어 및 문화 연구소)를 설립하고, 1968년과 1969년에는 양첸푸와 강룽에 공립학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다.[7]
인도와의 협력을 통해 도로, 학교, 병원 등 인프라 개발에도 박차를 가했다.[7] 1961년 제1차 5개년 계획을 시작으로 도로 건설이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그의 서거 당시에는 1200km가 넘는 도로가 건설되었다.[13][15]
1962년 콜롬보 계획 가입,[8] 1971년 유엔 가입 등 국제사회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도 힘썼다.[14] 특히 인도와의 우호 관계를 중시했으며, 방글라데시와도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7]
3. 1. 정치 및 사회 개혁
1953년, 지그메 도르지 왕축은 푸나카 종에서 부탄 국회를 개회했다.[7] 각 게우옥(행정 구역) 장로들을 초청하여 부탄의 미래에 대한 의견과 해결책을 제시하도록 했으며, 이는 왕축이 미래 부탄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이기도 했다.왕축은 왕실 토지에서 일하던 농노들을 소작농으로 전환하고, 동부 부탄을 중심으로 다른 지역의 농노들도 해방시켰다.[10] 1955년에는 상품세를 현금세로 전환하고 토지에 대한 현금 과세를 강화했다.[10]
1959년, 국회는 《트림중 첸모》(최고법)를 통과시켰다.[11] 이는 토지, 가축, 결혼, 상속 등 부탄 사회의 기본적인 측면을 포괄하는 법률이었다. 1968년에는 고등법원을 설립하여 사법부를 행정부로부터 독립시켰다.
1963년에는 부탄 왕립군이 공식 창설되었고, 모든 공무원의 급여가 상품에서 현금으로 전환되었다. 1968년에는 여러 부처를 신설하여 행정 체계를 개편했다.[12]
1968년 5월, 왕축은 국왕에 대한 불신임 투표제를 도입했다. 3년마다 국왕에 대한 신임 투표를 실시하고, 불신임안이 전체 의원의 3분의 2 이상으로 가결될 경우 왕세자에게 양위하도록 하는 제도였다. 또한, 부탄이 장래에 입헌군주제가 되어야 한다고 선언했다.
3. 2. 문화 및 교육 발전
지그메 도르지 왕축 국왕은 부탄이 문화적으로 독특한 국가로 존속할 수 있도록, 특히 번영하는 불교 문화를 유지하는 데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팀푸 의회 건물 근처에 있는 큰 부처상을 포함한 불교 기념물들을 건립했으며, 캉규르와 텐규르와 같은 화려한 불교 경전 사본들도 제작했다.[2]1967년, 그는 심토카 리주웅 롭드라(현재 언어 및 문화 연구소)를 설립하여 새로운 유형의 전통 학자들을 육성했다.[7] 또한 많은 드라샹(dratshang, 불교 사원)의 승려 수를 늘렸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종카어의 체계적인 음운론, 구문론 및 문법 규칙이 고안되었다.
학교에서 문화와 전통을 전파하고 과학 분야뿐만 아니라 인문학도 연구하기 위해, 제3대 국왕은 현대 교육을 광범위하게 확립했다. 그는 당시 교육 우수 센터였던 두 개의 공립학교, 즉 1969년 부탄 서부의 양첸푸(Yangchenphug)와 1968년 부탄 동부의 강룽(Kanglung)을 설립했다.[7]
3. 3. 인프라 개발
འཇིགས་མེད་རྡོ་རྗེ་དབང་ཕྱུག་|지그메 도르지 왕축bo 국왕은 1947년 인도가 독립한 후, 부탄의 교통, 통신, 교육, 보건 시스템 및 농업 인프라 현대화를 위한 원조를 제공하겠다고 제안한 후에 개발을 시작했다. 인도는 즉각적으로 부탄을 지원할 입장은 아니었다. 1954년 왕축은 인도를 공식 방문했고, 초대 인도 총리 자와할랄 네루는 1958년 9월 부탄을 방문했다. 이후 지그메 도르지 왕축 국왕은 인도를 여러 차례 방문했다.[7]네루가 1958년 부탄을 방문한 지 1년 후, 인도의 지원을 받아 부탄의 현대 인프라 개발이 시작되었다. 도로 건설은 1959년에 시작되었지만, 대규모 사업은 2년 후인 1961년 제1차 5개년 계획(FYP)과 함께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계획은 177km의 도로, 108개의 학교, 3개의 병원, 45개의 진료소 건설을 구상했다.[7][13] 1961년, 자동차 도로 교통이 팀푸에 도달했다. 5개년 계획을 통한 부탄의 경제적 미래에 대한 체계적인 구상은 1961년에 실행에 옮겨졌다. 5년 단위 예산 및 계획의 개념은 그 시대의 유산이다. 지그메 도르지 왕축 국왕의 재위 기간 동안 도로 건설은 활발하게 진행되어, 그가 서거할 때까지 1200km가 넘는 도로가 건설되었다.[15]
3. 4. 외교 관계
부탄은 1962년 콜롬보 계획에 가입하여 국제 원조를 받기 시작했다.[8] 그러나 재정 및 기술 지원의 주요 원천은 인도였다. 지그메 도르지 왕축 국왕의 최우선 과제는 인도와의 우호 관계를 더욱 심화하는 것이었다.[7]그는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 다변화도 꾀했는데, 방글라데시와 긴밀한 경제 관계를 맺고자 했다. 부탄은 인도 다음으로 방글라데시의 독립을 인정한 첫 번째 국가였다.[7]
1971년 부탄의 유엔 가입은 그의 재위 시대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이다.[14] 부탄은 1962년 콜롬보 계획 참여를 시작으로, 1970년 인도의 지원을 받아 국제연합 가입을 신청했고, 1971년 7월 21일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4. 사망
지그메 도르지 왕축은 오랫동안 심장 질환을 앓았으며, 20세에 첫 심장마비를 경험했다.[2] 1972년 7월, 치료를 위해 케냐 나이로비를 방문했으나, 체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왕축의 시신은 이후 부탄으로 옮겨져 화장되었다.[15]
5. 평가
지그메 도르지 왕축은 20년간 부탄 사회를 근본적으로 재편하고 주권과 안보를 강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7] 그는 국제 원조를 적극 유치하여 부탄 발전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했으며, 특히 인도는 주요 재정 및 기술 지원국이었다.[8]
왕축은 부탄의 전통 문화를 보존하면서 현대화를 추진하는 데 능숙한 지도자였다.[7] 그는 부탄 문화 보존과 증진을 위해 현대적인 기술과 방법을 도입하는 동시에, 서구의 과학 기술도 적극 수용했다.[7] 1966년 마나스 보호구역을 설립하는 등 환경 보호에도 앞장섰다.[9]
왕축은 사회 개혁에도 힘썼다. 왕실 토지에서 일하던 농노들을 소작농으로 전환하고, 동부 부탄을 중심으로 다른 지역의 농노들도 해방시켰다.[10] 1953년에는 부탄 국회를 개회하여 각 게우옥 장로들을 초청해 부탄의 미래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자신의 비전을 공유했다.[7]
1959년 국회는 《트림중 첸모》(최고법)를 통과시켰다. 이 법은 토지, 가축, 결혼, 상속 등 부탄 사회의 기본적인 측면을 포괄하는 법률이었다.[11] 왕축은 사법 제도 개혁에도 착수하여 각 지역에 판사를 임명하고, 1968년에는 고등법원을 설립했다.[11]
경제 분야에서는 1955년 토지에 대한 현금 과세를 강화하여 상품세를 현금세로 전환했다.[10] 부탄 왕립군을 창설하고 공무원 급여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등 행정 개혁도 단행했으며, 1968년에는 새로운 부처들을 설립하여 정부 기능을 강화했다.[12]
6. 기타
마하보디 협회의 종신 회원이자 후원자였다.[1] 사냥을 즐겼으며, 심장병 요양을 위해 케냐 나이로비에 방문한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Public Holidays
https://publicholida[...]
2021-03-26
[2]
웹사이트
Patron Kings Part XI: King Jigme Dorji Wangchuck of Bhutan
https://khyentsefoun[...]
Khyentse Foundation
2021-11-11
[3]
웹사이트
Holidays Around the World: Bhutan Third King's Death
http://aglobalworld.[...]
2021-11-11
[4]
웹사이트
WANGCHUCK DYNASTY. 100 Years of Enlightened Monarchy in Bhutan. Lham Dorji
https://www.research[...]
2017-05-01
[5]
서적
Brug gi rgyal rabs: 'Brug gsal ba'i sgron me
National Library
[6]
서적
The Raven Crown: The Origins of Buddhist Monarchy in Bhutan
Serindia Publications
[7]
서적
'brug brgyd 'zin gyi rgyel mchog gsum pa mi dwang 'jigs med rdo rjé dwang phyug gi rtogs brjod bzhugs so (The Biography of the Third King of Bhutan)
The Centre for Bhutan Studies
[8]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ebsite
http://www.mfa.gov.b[...]
[9]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ebsite
http://www.dofps.gov[...]
[10]
서적
The Hero with a Thousand Eyes, A Historical Novel
Karma Ura
[11]
웹사이트
Royal Court of Justice
http://www.judiciary[...]
[12]
웹사이트
Resolutions Adopted During the 28th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f Bhutan
http://www.nab.gov.b[...]
[13]
웹사이트
1st Five Year Plan (1961-1966)
https://web.archive.[...]
2015-06-12
[14]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ebsite
http://www.mfa.gov.b[...]
[15]
뉴스
Jigme Dorji Wangchuck Is Dead; King of Tiny Himalayan Bhutan
https://www.nytimes.[...]
1972-07-23
[16]
웹사이트
Third Druk Gyalpo honored by Bangladesh
https://thebhutanese[...]
2019-08-24
[17]
웹사이트
Times Content
http://www.timescont[...]
2016-09-14
[18]
웹사이트
WANGCHUCK DYNASTY. 100 Years of Enlightened Monarchy in Bhutan. Lham Dorji
https://www.resea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